다시 쓰는 명리학(이론편)

일간은 십신(육친)을 정하는 기준점이다.

나이스!!^^ 2024. 8. 29. 18:56

일간은 십신(육친)을 정하는 기준점이다.

 

□□

□□□□

일간 甲木에게 생을 받고 를 극한다. 수생목 목극토다. 일간을 생하는 천간은 인성이고, 일간이 극하는 천간은 재성이다. 일간 甲木에게는 壬水癸水가 인성이고, 戊土己土가 재성이 된다.

 

일간 甲木를 생하고, 의 극을 받는다. 목생화 화극금이다. 甲木이 생하는 천간은 丙火丁火가 있고, 甲木을 극하는 천간은 庚金辛金이 있다. 일간 甲木에게는 丙火丁火가 식상이고, 庚金辛金이 관성이다.

 

□□

□□□□

일간 丙火에게 생을 받고 을 극한다. 목생화 화극금이다. 에는 甲木乙木이 있고, 에는 庚金辛金이 있다. 일간 丙火에게는 甲木乙木이 인성이고, 庚金辛金이 재성이 된다.

 

일간 丙火를 생하고, 의 극을 받는다. 화생토 수극화다. 丙火가 생하는 천간은 戊土己土가 있고, 丙火를 극하는 천간은 壬水癸水가 있다. 일간 丙火에게는 戊土己土가 식상이고, 壬水癸水가 관성이다.

 

□□

□□□□

일간 戊土에게 생을 받고 를 극한다. 화생토 토극수다. 에는 丙火丁火가 있고, 에는 壬水癸水가 있다. 일간 戊土에게는 丙火丁火가 인성이고, 壬水癸水가 재성이 된다.

 

일간 戊土을 생하고, 의 극을 받는다. 목생화 목극토다. 戊土가 생하는 천간은 庚金辛金이 있고, 戊土를 극하는 천간은 甲木乙木이 있다. 일간 戊土에게는 庚金辛金이 식상이고, 甲木乙木이 관성이다.

 

□□

□□□□

일간 庚金에게 생을 받고 을 극한다. 토생금 금극목이다. 에는 戊土己土가 있고, 에는 甲木乙木이 있다. 일간 庚金에게는 戊土己土가 인성이고, 甲木乙木이 재성이 된다.

 

일간 庚金를 생하고, 의 극을 받는다. 금생수 화극금이다. 庚金이 생하는 천간은 壬水癸水가 있고, 庚金을 극하는 천간은 丙火丁火가 있다. 일간 庚金에게는 壬水癸水가 식상이고, 丙火丁火가 관성이다.

 

□□

□□□□

일간 壬水에게 생을 받고 를 극한다. 금생수 수극화다. 에는 庚金辛金이 있고, 에는 丙火丁火가 있다. 일간 壬水에게는 庚金辛金이 인성이고, 丙火丁火가 재성이 된다.

 

일간 壬水을 생하고 의 극을 받는다, 수생목 토극수다. 壬水가 생하는 천간은 甲木乙木이 있고, 壬水를 극하는 천간은 戊土己土가 있다. 일간 壬水에게는 甲木乙木이 식상이고, 戊土己土가 관성이다.

 

 

 

 

잠깐!

 

삶은 부귀가 아닌 행복으로 평가받아야 한다. 행복은 마음 편하게 사는 것이다. 부귀가 넘쳐도 마음이 편하지 않으면 행복한 것이 아니다. 그 평가는 남이 아닌 본인 스스로 내려야 한다. 다른 사람을 의식하며 살 필요가 없다. 남을 위해 사는 삶이 아니다. 인생은 내가 주인이 되어 살아야 하며 결과도 내가 책임을 져야 한다. 남의 탓을 해도 소용없다. 후회뿐이다.

 

누구든지 생각하는 자유, 말하는 자유, 표현의 자유가 있다. 누구든지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다. 비난도 욕도 할 수 있다. 문제는 다른 사람의 언행으로 인하여 나의 삶이 상처를 받거나 망가지면 안 된다. 대책을 세워야 한다.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평가와 관계없이 살아갈 삶의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어릴 때부터 큰 꿈을 갖고 살아야 한다고 교육을 받는다. 꿈은 꿈일 뿐이다. 현실을 무시한 이룰 수 없는 헛된 꿈을 가져서는 안 된다. 꿈과 야망보다는 현실을 직시하며 살아야 한다. 자기 분수를 모르고 능력 이상의 꿈을 꾸는 사람들이 많다. 꿈은 반드시 현실에 기반을 두고 펼쳐야 한다.

 

큰 꿈을 가지라는 교육의 폐해는 또 있다. 태어날 때 주어지는 각자의 시간표가 다르다. 확산 상승을 꿈꾸는 사람도 있지만, 응축 하강을 꿈꾸는 사람도 있다. 작고 소박한 행복이 목표인 사람도 있는 것이다. 사회는 너도나도 꿈을 크게 가지라고 말한다. 그래서 작은 행복을 꿈꾸는 사람들은 꿈을 입 밖에 낼 수조차 없는 사회가 되어 버렸다.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꿈꾸는 젊은 층이 늘어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태어날 때 정해진 그릇의 종류와 크기는 평생 바뀌지 않는다. 노력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한번 채송화는 죽을 때까지 채송화고 한번 호랑이는 죽을 때까지 호랑이다. 채송화도 호랑이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습이 변해간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태어날 때 정해지는 사주팔자가 운이 흘러감에 따라 모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려고 하는 학문이 명리학이다.

 

명리학은 나를 아는 학문이다. 만물은 태어날 때 종류와 크기가 결정된다. 모든 동식물도 마찬가지고 모든 사물도 마찬가지다. 태어날 때 정해져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한번 토끼로 태어나면 영원히 토끼다. 노력한다고 토끼가 호랑이가 될 수 없다. 인간만이 노력으로 바뀔 수 있다고 시도를 한다. 헛수고다.

 

사람들은 자기만의 독특한 색안경을 끼고 세상을 본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을 보면서도 서로 다르게 말한다. 남의 색안경은 색깔이 다르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내 눈으로 직접 보았다고 우긴다. 자신의 색안경의 색깔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보는 세상이 맞는다면 상대방이 보는 세상도 맞다. 나 자신을 알아야 한다.

 

나이스사주명리, 학습도서 (e-nicesaju.com)